미국 고등학교 졸업 후 한국 고등학교
미국 고등학교 졸업 후 한국 고등학교 3학년으로 잠깐 편입"은 원칙적으로 거의 불가능합니다
미국 고등학교 졸업 후, 한국 고등학교 3학년 "재입학"이 안 되는 이유
한국의 고등학교는 ‘의무교육’이 아니라 ‘과정제’
즉,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순차적으로 이수해야 하며, 이미 졸업 자격(미국 고교 졸업장)을 취득한 학생은 고등학교 과정을 이중으로 이수할 수 없습니다.
고등학교는 졸업장이 아닌 ‘재학생’만 수업에 참여 가능
졸업을 한 순간, 법적으로 고등학생이 아니기 때문에 국내 고등학교에 편입 자체가 되지 않아요. 심지어 편입이 된다 해도 학기 도중이거나 짧은 기간이면 학교 측에서 받아주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
외국학교 졸업 후 한국 고등학교 전학은 일반적인 경로가 아님
한국 고교로 전학을 하려면 원칙적으로 학년 중간에 해당 학년 이수 전이어야 하고, 외국학교 재적 상태여야 합니다. 이미 졸업한 경우는 제외입니다.
✅ 현실적인 대안: 남은 시간을 '전략적으로' 활용하는 방법
한국 대학 ‘수시’ 또는 ‘조기 입학’ 준비
이미 SAT, TOEFL 완료했고, 고교 졸업이 빠르다면 한국의 수시 전형 중 해외고 졸업자 전형 또는 조기졸업자 전형을 노려볼 수 있어요.
연세대, 고려대, 서강대, 한양대 등은 해외고 수시 전형이 따로 있고, 9월부터 원서 접수라 지금부터 준비하기 좋습니다.
1년 정도는 ‘포트폴리오/스펙 쌓기’로 활용
원하는 전공에 맞춰 인턴, 공모전, 봉사활동, 연구참여, 온라인 대학 수업 이수 등을 하면 훨씬 더 강력한 지원서가 될 수 있어요.
특히 해외 대학을 추가로 고려 중이라면 AP 과목 추가 이수나 에세이 준비에 집중 가능.
검정고시나 재학이 필요한 경우에는 ‘학력인정 유학’ 여부 확인
만약 한국 학제 내 검정고시나 다른 시험을 보려 한다면, 유학한 학교가 한국 교육부 인가된 기관인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. (보통 미국 공립고면 OK)
글 목록으로 돌아가기